세상을 잇다28 내 그림자가 나를 돕는다 1. 그림자란 무엇인가 37페이지 '광야의 예수가 어떻게 사탄에게 굴복하지 않고 마치 그림자가 따로 논 것처럼 사탄을 존경하지 않았는지 보라 예수는 대화로, 즉 적극적 상상을 통해 사탄과 이야기 한다. 티베트의 의식에서는 마귀 얼굴 가면을 쓰고 마치 자신들이 마귀인 것처럼 춤을 춘다. 이들은 그림자 춤을 통해 어두운 힘을 유익하고 기쁜 영혼으로 바꾼다고 믿는다. 이는 모든 것에는 양면이 있다는 것과 한 면을 포용하면 다른 쪽이 나타나고 해방된다는 것을 인정하고 믿는 것이다' 2. 우리 안에 선과 악이 함께 있음을, 고귀한 면과 마귀의 면이 함께 있음을 인정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우리는 그렇게 고귀한 존재가 아니다. 끊임없이 자아의 껍질을 벗겨가며 노력해야하는 작은 존재이다. 결국, 작은 존재안에 .. 2020. 9. 12. 영화 69세, 트라우마 회복이란.. 영화에서 내가 주의깊게 본 장면들은 트라우마 외상이 인간의 행동과 인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외상은 성폭력 당한 그 순간만 겪는 것이 아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멍자국이 없어지듯, 자연스레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그 외상은 일상으로 복귀했다고 믿었던 순간에도,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에 상관없이 불쑥불쑥 일어난다. 성폭력이 일어났던 그 장소와 비슷한 빛을 마주하고, 대수롭지 않게 넘길수 있는 말임에도 가해자가 했던 말이 연상이 되고 내 몸을 스치는 부딪침이 일어날 때면 언제든 연관되는 모든 것들이 그 사건의 기억을 촉발시킨다. 사건의 기억이 촉발되는 순간, 내 몸의 통제권은 나에게 없다. 손이 떨리고, 가슴이 뛰고, 다리가 후들거리고, 한발을 떼어야하는데 마음처럼 떼지지 않고, 비틀거린다. 사건 당시.. 2020. 9. 12. (About 거식증) 나는 마리스 I Am Maris 거식증은 화병처럼 왜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이 되었을까 이 사회가 정해놓은 표준화된 여성의 외모가 있다. 그 외모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는 자기 관리 못하는 능력없는, 사랑받을 자격이 없는 사람으로 낙인 찍고 결국 그 낙인은 여성들 자신에게 화살로 돌아와 자기를 혐오하게 만든다. 마리스는 그런 내적 고통을 그림으로 표현해왔다. 자신을 바라보고, 외부 세계를 관찰할 눈이 그림에서는 그려지지 않고 고통스럽게 절규하는 모습이 보여진다. 어려서부터 '뭔가 잘못 됐다'라는 생각으로, 걱정이 많았고 잠을 이루지 못했다고 한다. 부모는 단순한 불면증이겠지, 나아지겠지 사소한 문제로 만들었고 마리스가 거식증과 자해를 반복하면서 그때서야 인정하고 싶지 않았던 마리스의 문제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나 자신이 용.. 2020. 8. 30. ‘청소년 자해는 우리 모두의 책임’, 인식 바꾼 KBS <추적 60분>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은 2019년 2월 ‘민언련 이달의 좋은 보도상’ 시사 프로그램 부문에 KBS (2/22) ‘소리 없는 아우성, 청소년 자해’를 선정했다. 지난해부터 청소년들의 자해가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 자해’라는 현상 자체는 어느 정도 알려졌으나, 당사자인 청소년의 목소리에 주목하거나 본질적, 구조적 원인을 짚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히려 피상적이고 자극적인 보도가 많았다. 한겨레21이 11월에 기획 연재로 내보낸 ‘청소년 자해 3부작’을 제외하고는, 수많은 기사들이 청소년의 자해를 “유행”이나 불건전한 “놀이”, 심지어는 “패션”이라는 식으로 묘사했다. 이렇게 ‘청소년 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왜곡될 위험이 큰 상황에서, .. 2020. 7. 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