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 책 읽기/트라우마 & 대리외상2 Vicarious Traumatization: 피해자와 작업할 때 심리적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2025년에는 트라우마 영문 자료를 꾸준히 읽으면서 정리를 해나가는 작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작게나마 글을 쓰고 정리하면서 글쓰기에 익숙해지려고 하고 산발적으로 읽고 있는 자료들을 머리속에 체계적으로 넣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트라우마와 치료자의 저자인 Laurie Anne Pearlman의 자료로 먼저 시작합니다. 대리외상 관련 중요한 논문, 1990년도 자료이지만 여전히 유용한 참고자료이다. 서론외상에 직적접인 피해자는 아니지만 피해자들과 작업을 하거나 연구를 하는 정신건강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나타날수 있는 증상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높은 수준의 학위를 받고 수퍼비젼 등 훈련을 받고 있음에도 그들은 내담자의 트라우마적인 기억에 노출되어 고통.. 2025. 1. 27. [책: 트라우마와 치료자] 개요와 1장 역전이 트라우마와 치료자 개요 이 책의 배경-지금까지 소수만이 아동기 성학대 성인 생존 내담자와 작업하면서 역전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더 소수만이 대리외상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대해서 이야기 해왔다.-상호주관성과 치료자 자기중심성 그리고 치료적 작업의 관계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이 증가되었고 심리치료의 개념과 치료자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일고 있다-이와 관련한 근본적인 변화는 스톤센터와 페미니스트의 관계적인 조망의 등장이다. 왜 근친성폭력 생존자인가-많은 심리치료사들이 성인생존자들을 만나고 있다. -아동기 근친성학대 생존자와의 치료는 도전적이고 어렵다. 성학대 생존자들은 무의식적이거나 분열된 외상적 상호대인관계 경험을 재현하며 치료자들은 보상적인 반응으로 대응하게 된다. -이런 재현은 실수가 아니.. 2021. 8.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