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문 & 책 읽기5

Vicarious Traumatization: 피해자와 작업할 때 심리적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2025년에는 트라우마 영문 자료를 꾸준히 읽으면서 정리를 해나가는 작업을 해보려고 합니다. 작게나마 글을 쓰고 정리하면서 글쓰기에 익숙해지려고 하고 산발적으로 읽고 있는 자료들을 머리속에 체계적으로 넣는 시간을 가져보려고 합니다. 트라우마와 치료자의 저자인 Laurie Anne Pearlman의 자료로 먼저 시작합니다. 대리외상 관련 중요한 논문, 1990년도 자료이지만 여전히 유용한 참고자료이다. 서론외상에 직적접인 피해자는 아니지만 피해자들과 작업을 하거나 연구를 하는 정신건강분야의 전문가들에게 나타날수 있는 증상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한다. 높은 수준의 학위를 받고 수퍼비젼 등 훈련을 받고 있음에도 그들은 내담자의 트라우마적인 기억에 노출되어 고통.. 2025. 1. 27.
유아그림속의 어린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전가일 유아그림속의 어린이에 대한 존재론적 이해 -전가일 한국보육지원학회지,제 10권 제 6회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2014 Vol. 10. No. 6. pp. 291~311 서론 어린이를 어린이답게 하는 것은 어린이의 어떠한 존재성 때문일까? 아동기가 인간의 독특하고 고유한 기간이라는 믿음은 근대에 나타난 것으로 이러한 근대적인 시선에서의 어린이는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에 따라 대상화된 아동으로 객체화된 타자이고, 보편적인 아동이다(유혜령,2012; cannella 2002) Cannella(2002)는 19세기와 20세기의 실증주의적 가정이 아이들에 관한 담론을 지배했다고 주장하면서 실증주의적 담론은 아동기의 성인과는 다른 실재하는 특징이 있는 특정시기.. 2022. 12. 1.
현상학적 연구_밴 매넌의 연구 방법 질적연구방법과 상담심리학 - 이정빈 56p 밴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방법 밴 매넌은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뿐 아니라 하이데거의 현상학, 메를로 퐁티의 신체의 현상학 등 다양한 유형의 현상학 그리고 딜타이, 가다머, 리쾨르 등의 해석하고 사용하고 있다. (이남인, 2014:54-55) 밴 매넌의 연구 방법은 연구하고자 하는 현상의 경험에 집중하고 참여자의 생활세계에서 자료를 수집하며 체험의 본질적 주제에 대한 반성과정을 거쳐 발견된 결과에 대해 현상학적 기술을 한다. 밴 매넌의 연구 방법의 차이는 1. 인간 경험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예술적 원천 (문학, 미술, 영화, 사진 등) 을 활용한다. 연구 참여자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인간 경험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와 실천적인 통찰을 증가시킬수 있다.. 2022. 11. 14.
현상학적 연구의 주요개념 질적연구방법과 상담심리학 - 이정빈 3장. 현상학적 연구 49페이지 현상학적 연구의 주요 개념 1.지향성 인간의 사고와 행동은 항상 무엇을 지향하는 것으로 파악할수 있게 되었다. 우리가 어떤 대상을 향한다는 사실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대상(세계)이 어떤 의미가 있느냐가 중요하다. 2. 생활세계 우리의 체험이 성립하는 곳으로서의 생활세계는 전반성적(pre-reflective)특성을 갖는다. (이근호, 2007:45). 우리가 생각하고 주목하기 전에 미리 주어진 일상적 세계를 의미한다. 현상학은 생활세계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그것으로의 회귀를 통해 앎을 얻을수 있다고 본다. 3. 본질 현상학 연구에서 본질은 어떤 동일한 경험을 한 개인들의 공통적인 경험의 의미를 말한다. 4. 판단중지와 현상학적 환원 판단.. 2022. 11. 14.
[책: 트라우마와 치료자] 개요와 1장 역전이 트라우마와 치료자 개요 이 책의 배경-지금까지 소수만이 아동기 성학대 성인 생존 내담자와 작업하면서 역전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더 소수만이 대리외상이라고 부르는 현상에 대해서 이야기 해왔다.-상호주관성과 치료자 자기중심성 그리고 치료적 작업의 관계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한 자각이 증가되었고 심리치료의 개념과 치료자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변화가 일고 있다-이와 관련한 근본적인 변화는 스톤센터와 페미니스트의 관계적인 조망의 등장이다. 왜 근친성폭력 생존자인가-많은 심리치료사들이 성인생존자들을 만나고 있다. -아동기 근친성학대 생존자와의 치료는 도전적이고 어렵다. 성학대 생존자들은 무의식적이거나 분열된 외상적 상호대인관계 경험을 재현하며 치료자들은 보상적인 반응으로 대응하게 된다. -이런 재현은 실수가 아니..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