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잇다29

[정희진의 낯선 사이] 일상을 가능케 하는 권력을 생각함 정희진의 낯선 사이 일상을 가능케 하는 권력을 생각함 윤석열 정부를 상징하는 구호 중 하나는 “구조적인 성차별은 없다”이다. 이 말은 용감했지만, 저잣거리에 넘쳐나는 남성문화의 일부이자 30년이 넘은 신자유주의 통치 패러다임일 뿐이다. 물론 ‘구조도 구조적 문제도 없다’는 비현실이다. 우주에서 혼자 사는 것도 증류수 같은 현실도 불가능하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이러한 사고방식 자체가 사회 구조적 문제다. 구조와 구조주의는 다르다. 구조는 사회의 물리적, 정치경제적, 심리적 관계들을 의미하고 이런 상황으로부터 온전히 자유로운 개인은 없다. 혼자 모든 것을 처리할 수 있는 개인은 사후에도 성립되지 않는다. 기억되기 때문이다. 반면, 문제의 원인을 개인 몸 외부에서 찾는 사고가 구조주의이다. 성별이든 계급이.. 2022. 11. 9.
[이태원참사, 생존자 글]선생님, 제가 참사 생존자인가요? * 이태원 참사 생존자 분이 쓴 글임 1.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사실 생존자는 아닌거 같아요 와이키키 술집 앞에 껴있었고, 압사 사고 골목으로 휩쓸려갈뻔 했던 것도 맞긴 하지만,, 압박이 갑자기 심해져서 발이 안닿았던 것도 맞지만, 숨이 쉬기가 어려운 순간도 있었지만,, 와이키키 술집 벽으로 붙어야 살 수 있다고 난관에서 끌어주신 것도 맞지만, 그때 술집에서 문을 열어주고 대피해서 잘 살아남았고, 10시 40분쯤 부터는 아 살았다 이제 그럼 술 먹고 놀수 있는 건가? 라는 생각도 했었던지라,, 참사 생존자로 분류는 아닌 것 같아요 생존자로 분류되고 ptsd 고위험 환자로 분류된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환자라는 사실에 정신과 치료 연계 시스템을 안내받고 나온 이후, 선생님께서는 내게, 트라우마가 심.. 2022. 11. 9.
환자에게서 배우기_패트릭 케이스먼트 환자에게서 배우기 - 패트릭 케이스먼트 11장 도그마를 넘어서 (335p) 치료자는 환자가 이전에 경험했던 것보다 더 좋은 신뢰감을 주려고 노력해야할 것이다. 하지만 환자가 자신의 경험에 속한 방식으로 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자유도 주어야한다. 따라서 우리는 항상 '더 좋은 부모'의 역할만 할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보다 환자들은 종종 분석가를 사용하여 이전의 '나쁜 대상'을 재현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그 때 환자들은 원래 대상과의 관계에서는 표현될수 없었던 감정과 접촉할수 있을 것이다 12장 신선한 통찰인가 진부한 생각인가? (347 & 353p) 선입견이라는 걸림돌은 초심자에게만 위험한 것이 아니다. 똑같은 위험이 노련한 치료자를 기다린다. 경험이 많다는 이유로 생각을 게을리 하거나 자신의 생각.. 2021. 8. 23.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자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자료)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68672/ 이 사이트 영문 자료를 일단 구글 번역기로 돌려서 대강의 내용을 훑어봤다. 관련하여 찾아볼 자료들을 목록화해주어서 나중에 차근히 보면 좋을것 같다. 경계성 인격장애 당사자 치료 뿐 아니라 주변인,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생각보다 많이 있다. 일단 자료 킵!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자녀: 양육 행동을 중재의 잠재적 대상으로 식별 Stephanie D. Stepp , 1 Diana J. Whalen , 2 Paul A. Pilkonis , 1 Alison E. Hipwell , 1 및 Michele D. Levine 1 저자 정보 저작권 및 라이선스 정보 면책 조항 이 기사의 게시자의 최종.. 2021. 8. 18.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가족들을 위한 지침(이인수정신분석클리닉)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가족들을 위한 지침 https://www.leemd.kr/bbs/board.php?bo_table=yp_column01&wr_id=15 Multiple family group program at McLean Hospital By John G.Gunderson, M.D and Cynthia Berkowitz, M.D PUBLISHED BY The New England Personality Disorder Association 치료 목표는 천천히 1. 변화는 이루기 어렵고, 두려움이 동반됨을 기억하자. 엄청난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암시나, 또는 “당신은 할 수 있다”고 안심시키는 말은 신중해야 한다. 호전되는 것(progress)은 버림받는 두려움을 일으킨다. 경계선 환자들의 가족들은 자.. 2021. 8. 18.
가까운 사람이 자기애성 성격장애일 때/ 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장애일 때 (한겨레신문 기사) 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다정하고 단호하게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심심·1만7500원가까운 사람이 자기애성 성격 장애일 때: 자책 없이 침착하게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심심·1만8000원 는 그동안 출간된 여러 심리학 서적과 접근법이 다르다. 여타 책들이 환자 본인에게 집중한다면, 이 책은 환자 곁에서 고통받는 ‘주변인’에게 초점을 맞춘다. 경계성·자기애성 성격 장애 환자는 보통 병식이 없고, 많은 경우 격렬하게 자신의 병을 부정한다. 이런 점은 주변 사람들을 이중의 고통으로 몰아넣는다. 이들은 환자에게 감정적으로 착취당하면서도, 혹시 상대가 아니라 자신에게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끝없이 묻고 자책한다. 독.. 2021. 8.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