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을 잇다/나와 세상을 잇는 글21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자녀(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자료)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68672/ 이 사이트 영문 자료를 일단 구글 번역기로 돌려서 대강의 내용을 훑어봤다. 관련하여 찾아볼 자료들을 목록화해주어서 나중에 차근히 보면 좋을것 같다. 경계성 인격장애 당사자 치료 뿐 아니라 주변인,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생각보다 많이 있다. 일단 자료 킵! 경계성 인격 장애를 가진 어머니의 자녀: 양육 행동을 중재의 잠재적 대상으로 식별 Stephanie D. Stepp , 1 Diana J. Whalen , 2 Paul A. Pilkonis , 1 Alison E. Hipwell , 1 및 Michele D. Levine 1 저자 정보 저작권 및 라이선스 정보 면책 조항 이 기사의 게시자의 최종.. 2021. 8. 18.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가족들을 위한 지침(이인수정신분석클리닉) 경계선 인격장애 환자 가족들을 위한 지침 https://www.leemd.kr/bbs/board.php?bo_table=yp_column01&wr_id=15 Multiple family group program at McLean Hospital By John G.Gunderson, M.D and Cynthia Berkowitz, M.D PUBLISHED BY The New England Personality Disorder Association 치료 목표는 천천히 1. 변화는 이루기 어렵고, 두려움이 동반됨을 기억하자. 엄청난 변화가 이루어졌다는 암시나, 또는 “당신은 할 수 있다”고 안심시키는 말은 신중해야 한다. 호전되는 것(progress)은 버림받는 두려움을 일으킨다. 경계선 환자들의 가족들은 자.. 2021. 8. 18.
‘청소년 자해는 우리 모두의 책임’, 인식 바꾼 KBS <추적 60분> 민주언론시민연합(이하 민언련)은 2019년 2월 ‘민언련 이달의 좋은 보도상’ 시사 프로그램 부문에 KBS (2/22) ‘소리 없는 아우성, 청소년 자해’를 선정했다. 지난해부터 청소년들의 자해가 급증하고 있다는 사실이 언론에서 대대적으로 보도되었다. 이에 따라 ‘청소년 자해’라는 현상 자체는 어느 정도 알려졌으나, 당사자인 청소년의 목소리에 주목하거나 본질적, 구조적 원인을 짚는 시도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오히려 피상적이고 자극적인 보도가 많았다. 한겨레21이 11월에 기획 연재로 내보낸 ‘청소년 자해 3부작’을 제외하고는, 수많은 기사들이 청소년의 자해를 “유행”이나 불건전한 “놀이”, 심지어는 “패션”이라는 식으로 묘사했다. 이렇게 ‘청소년 자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왜곡될 위험이 큰 상황에서, .. 2020. 7. 5.